본문 바로가기
리뷰모음 - Readingworks/소설·비소설·인문·

보이지만 사실은 눈먼 현대인에게 던지는 충격의 메시지!

by Richboy 2008. 11. 22.

눈먼 자들의 도시

저자 주제 사라마구  역자 정영목  
출판사 해냄출판사   발간일 2002.11.20
책소개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주제 사라마구의 대표작. 눈먼 자들을 가둔 수용소와 이름없는 도시를 배경으로 인...

보이지만 사실은 눈먼 현대인에게 던지는 충격의 메시지!
 
  자동차 운전석에 앉아 신호가 바뀌기를 기다리던 사내가 갑자기 눈이 먼다. '눈이 안보여'. 이것은 시작일 뿐. 원인불명의 실명은 마치 전염병처럼 삽시간에 퍼져버린다. [수도원의 비망록 Memorial do convento]으로 1998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포르투갈의 작가 주제 사라마구Jose' Saramago의 소설, [눈먼 자들의 도시Ensayo Sobre La Ceguera/Blindness]의문표도, 느낌표도 없다. 따옴표도 줄임표도 없다. 단지 쉼표와 마침표만 있을 뿐. 빽빽하게 들어선 글자들의 단조로움으로 얼핏 보기만 해도 갑갑함을 느끼게 한다. 점자책을 읽는 시각장애인들의 답답함이 그럴까? 한 순간에 세상의 모든 사람들은 눈이 멀어버리고, 단 한 사람 '의사의 아내'만이 볼 수 있는 상황. 화자는 그녀의 뒤를 쫓으며 함께 '눈먼 자들'을 목격한다.
 
 
 
 
 
의사의 아내는 말한다. "여기에 온 세상이 다 들어와 있어요."
 
  '백색실명'은 마치 풍토병처럼 확산되며 사람들의 눈을 하얗게 멀게 한다. 예고도 없이 전염되는 이 질병의 원인을 찾기에 앞서 우선 실명환자와 그들과 함께 했던 보균자들을 수용시설에 넣어 별도의 병동에서 격리하게 되고, 수용되는 환자들이 수백 명에 달하면서 '백색의 어둠'을 겪는 그들은 시공감각을 잃어버린 채 끝을 알수 없는 수용생활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겪으며 격리, 감금, 무질서, 폭력, 굶주림, 강간과 살인에 노출된다. 
 
"의사의 아내는 그곳에 도착한 뒤 처음으로, 자신이 현미경을 통해 그녀의 존재를 의식하지 못하는 수많은 인간들의 행동을 관찰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갑자기 그런 행동이 경멸스럽고 외설적으로 느껴졌다. 다른 사람들이 나를 볼 수 없다면, 나도 다른 사람들을 볼 권리가 없어. 그녀는 생각했다." (98 면)
 
  하지만 저자는 전장에서 승리한 장군은 패잔병 한 명을 남겨두고 모두 죽인 후 패잔병에게 "네가 본 것을 돌아가 모두에게 알리라." 고 말하는 듯 '의사의 아내' 한 명만이 '우유의 바다'에 빠져 부유하는 그들을 지켜보는 '단죄'를 받게 되어 말 그대로 '눈에 뵈는 것이 없는 막판 인생'들의 최후의 목격자로 남겨진다. '눈먼 자들'이 느끼는 두려움은 마치 사고로 팔을 잃은 사람이 느끼는 잘린 팔이 있던 자리에서 느끼는 통각痛覺 처럼 '익숙한 것과의 결별'로 인한 상실감인 것을, 존재감을 잃어버리고 헤매고 만다. 그런 그들을 보고 '의사의 아내는 '유령'이라고 말한다. 나머지 네 개의 감각으로 모두들 생명이 존재한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보지는 못하기 때문에 살았지만 그들은 죽은 것이다. 한편 '보이지 않는 고통'은 집단 군중심리와 인간의 자연적인 생활과 맞물려 또 다른 이름의 자유를 낳는다. 서로 먼저 많이 먹기 위해 아귀다툼을 하고, 아무데나 용변을 보고, 방귀를 뀌고, 잠자리를 가지고 다툰다. 한 자루의 총은 '권력'을 선사해 폭력과 갈취, 그리고 인권을 유린하는 강간이 자행해진다.
 
"사실 이름이 우리에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개는 이름을 가지고 다른 개를 인식하는 것도 아니고, 다른 개들의 이름을 외우고 다는 것도 아니잖아. 개는 냄새로 자신의 정체를 드러내고 또 상대방이 누군지도 확인하지 여기 있는 우리도 색다른 종자의 개들과 같아. 우리는 으르렁 거리는 소리나 말로 서로를 알 뿐, 나머지, 얼굴 생김새나 눈이나 머리 색깔 같은 것들은 중요하지 않아. 존재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지." (85-86 면)
 
  그래서일까? 저자는 이 소설의 주인공들에게 어쩌면 의미가 없다며 이름을 허락하지 않았다. 단지 '처음 눈 먼 남자', '의사', '의사의 아내', '검은 색안경을 쓴 여자', '사팔뜨기 소년', '도둑' 등의 이름으로 그들을 불러 그 존재를 밝히고 있었다. 서로 다른 이들의 공통점은 단 하나. 바로 '두려움'에 빠져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단지 보이지 않기에 두려운 것이 아니라, 이미 앞이 보였던 상황에서도 '두려워'했기 때문에 '백색실명'이 된 것은 아닐까 의문을 던진다. 이는 저자가 '막연한 불안감과 두려움'에 빠져 자기애고에 빠져버린 현대인들을 향해 '너희는 두 눈으로 세상을 보고 살고 있지만, 어쩌면 지금 눈 먼 채로 살고 있다'고 말하는 것 처럼 느껴진다. 그에 대한 해답의 실마리는 '의사의 아내'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선생님을 사랑하시나요. 응. 나 자신을 사랑하는 만큼. 하지만 만에 하나 내가 눈이 먼다면 내가 눈이 먼 다음에 다른 사람이 된다면 내가 어떻게 그이를 계속 사랑할 수 있을까.무슨 감정으로 사랑을 할까. 전에 우리가 볼 수 있었을 때도 눈이 먼 사람들이 있었잖아요. 지금과 비교하면 거의 없었다고 할 수 있지. 일반적인 감정을 볼 수 있는 사람의 감정이었고. 따라서 눈먼 사람들도 눈먼 사람들의 감정이 아니라 성한 사람들의 감정을 가지고 있었어. 그런데 이제 눈먼 사람들의 진짜 감정들이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어. 아직도 시작일 뿐이야. 지금은 그래도 우리가 가졌던 감정에 대한 기억에 의존해 살고 있잖아. 지금 삶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아는 데는 눈이 필요 없어." (354 면) 
 
  가까스로 살아남은 '눈먼 자들'은 도시에서는 더 이상 살아남을 수 없음을 알게 되고, 서로 흩어지지 않고 아끼고 사랑하며 시골에서 살 것을 결정하게 되는 데 그 날 밤 '백색질병'이 사라지는 것을 경험한다. 두려움 속에서 생존을 위해 버텨내려고 애쓸 때는 '눈먼 자들'이었는데, 서로가 함께 시골에서 살아가는 미래를 꿈꾸는 그날 밤 다시 '눈뜬 자들'로 돌아간 것이다. 저자는 또 다시 '의사의 아내'를 통해 어떻게 세상을 살아가야 하는 지 메시지를 던진다.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고 싶어요. 응. 알고 싶어. 나는 우리가 눈이 멀었다가 다시 보게 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나는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요. 눈은 멀었지만 본다는 건가.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이라는거죠."
 
 
 
 
  '안보인다는 것이 가장 괴로울 때는 꿈조차도 꿀 수 없다는 것이다'고 말한 선척적 시각장애인인 지인의 말이 생각난다. 눈이 보이지 않게 되어 더 이상 운전을 할 수 없는데도 '차를 잃어버린 것'에 대한 집착을 보이는 '먼저 눈 먼 사람'처럼 놓칠까 잃을까 두려움에 떨며 사는 현대인의 눈에는 '꿈과 미래'에 대한 눈은 찾을 수 없다. 그들이야말로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이었던 것이다. 저자가 보여준 '밀실'에서의 집단의 '후천적 시력상실'의 상황은 이런 꿈을 잃은 오늘날 현대인의 모습을 잘 대변하고 있다. 인간이어서 인간이 아니라, 인간다워야 인간이 됨을 보여주는 메시지 강한 소설이다. 저자의 메시지를 재확인하기 위해 이들이 눈을 뜬 6년 후의 모습을 그렸다는 [눈뜬 자들의 도시]를 찾게 하고, 글 속에서 그린 '눈먼 자들이 눈먼 사람들을 통지하는 정부의 모습'을 영화는 어떻게 그렸을지도 궁금해진다. 갑갑한 가슴을 계속 손으로 쓸게 하는 소설, 정말 눈이 멀 것만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