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속으로
조정래 신작 장편소설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의 작가, 조정래의 신작 장편소설. '노르망디에서 포로가 된 조선인의 운명'이라는 독특한 소재를, 2차 세계대전이라는 세계사의 한가운데 배치하였다. 계간 「문학동네」 2006년 ...
이 책은..소설가 조정래의 펜으로 되살아난 '독일군복 입은 조선인' 이야기
나의 평가
소설가 조정래의 펜으로 되살아난 '독일군복 입은 조선인' 이야기.
소설 [은하영웅전설]에서 암리츠아전후 양 웬리 중장은 중위에게 이런 말을 한다.
"중위, 나는 역사를 공부한 적이 있어. 그래서 조금은 알고 있는데 말야...인간 사회의 사상에는 크게 두가지 조류가 있다네. 생명이상의 가치가 존재한다는 학설과 생명보다 더 가치있는 것은 없다는 학설, 그 두가지지. 그런데 사람이 전쟁을 시작할 땐 전자를 택하고, 싸움을 그만둘 땐 후자를 이유로 내세우더군. 그것을 지금까진 수백 년, 수천 년 반복해 왔다 그 말이야."
전쟁을 겪은 세대들에게 '전쟁이야기'를 청하는 것은 '끝없는 연옥에 빠져 허우적대는 악몽'을 대낮에 꾸라고 요구하는 것과 같다. 빗발치는 포화속에서 살아났지만, 그들이 시름하는 이유는 죽은 자들의 망령을 항상 어깨에 지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늙은이들이 전쟁을 선포하지만, 싸워야하고 죽어야 하는 것은 젊은이들이다'라고 미국의 H.후버가 한 말처럼 TV를 켜면 오늘 이시가에도 지구촌 어디에서 젊은이들은 총부리를 맞대고 싸우며 죽어가고 있다. 그들은 총을 들고 태어난 전사들이 아니라, 우리들과 같이 평범한 사람이었고, 어느 부모에게는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자식들이다.
소설가 조정래의 시선은 늘 인간을 향하고 있었다. 밴드 오브 브라더스의 원작가로 유명한 스티븐 앰브로스가 쓴 책 [D-Day]에서 언급한 '노르망디 조선인(한국인)'에 대해 TV의 한방송국이 다큐멘터리로 내놓자, 이를 바탕으로 한 편의 경장편을 써내렸다. [오 하느님]의 탄생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이야기의 시작부터 주인공 신길만과 그와 생과사를 함께 했던 조선인들에게 '선택의 자유'는 없었다. 소련군의 괴물같은 탱크 앞에서도 총을 들고 뛰어 들라면 뛰어 들었고, 배가 고파도 식량보급을 하지 않으면 굶어야 했다. 처음부터 지원군 '지명'에 의해 일본군이 되었고, 살기 위해 그들은 소련군이 되었으며, 독일군으로 변신해야 했다. 군복을 갈아입을 때마다 바뀐 색깔만큼 고향땅에서 멀어졌음을 그들도 알고 있었지만, 전쟁이 끝나면...고향으로 돌아간다는 다짐밖에 할 수 없었다.
이 소설은 2차세계대전이라는 큰 전쟁 속에서 이름없이 죽어간 우리 젊은이들의 7년여의 여정이 담겨있다. 하루 하루를 전투로 살아가는 속에서도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육덕지고 구수한 우리네 농짓거리를 작가는 마치 함께 녹아서 경험한 듯 표현했는데, 그들의 빈웃음이 독자의 마음을 더욱 아리게 한다.
일본군포로에서 소련군이 되기 전까지의 고초는 마야자키 도오코의 소설 [불모지대不毛地帶]를 연상케하고 조선인들의 입담은 이광수의 단편소설 [무명無明]을 떠오르게 했다.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힘과 의지로는 돌릴 수 없는 비극을 온몸으로 겪고 사라져간 이름없는 조선인들의 슬픔과 고통이 고스란히 묻어있는 소설이다. 그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는 것이 전쟁이라는 것을 이 책은 재확인 해준다.
'고생끝에 낙이 온다'고 죽을 둥, 살 둥 헤엄쳐 나왔다면 좋으련만... 먹먹해진 가슴 달래느라 혼났다. 비극적 결말이 야속해 얼른 책을 덮었지만,
"우리는 소련인이 아니다. 우리는 조선인이다. 우리의 국적을 고쳐 달라. 우리를 조선인이 많은 수용소로 보내 달라." 고 피를 모아 만들어낸 그들의 혈서가 자꾸만 눈에 밟힌다
'리뷰모음 - Readingworks > 소설·비소설·인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실세계에 살게 된 어른공룡 '둘리'의 슬픈 이야기 (0) | 2008.05.07 |
---|---|
재미와 정보가 가득한 오늘의 현대 여성이라면 봐야 할 안내서. (0) | 2008.05.03 |
수많은 고스트The ghost 에게 바치고 싶은 책! (0) | 2008.04.27 |
평범한 하루가 얼마나 소중한지를 알려주는 감동적인 이야기! (0) | 2008.04.26 |
오늘의 도시여성을 알고 싶은 남자들이 꼭 읽어야 할 책! (0) | 2008.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