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뷰모음 - Readingworks/소설·비소설·인문·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너무나 박민규다운 스무 살의 크리스마스 이야기!

by Richboy 2009. 12. 11.

 

 

 

 

  21세기의 '데미안'이 이 소설 속에 숨어 있었다!

 

  “누군지는 기억이 나지 않아, 웃기지만 정말이야. 하지만 언제였냐는 기억이 또렷하지. 왜냐하면 하늘에 뜬 별이 모두 땅에 내려앉은 것처럼 거리엔 반딧불이같은 불빛들이 그득하고, 귀에는 캐럴이 끊임없어 들렸거든. 난 명동성당으로 들어서는 을지로 사거리 오른편 가로등에 서 있었어. 한 손에는 ‘사랑과 영혼’을 볼 수 있는 중앙극장 영화표 두 장, 다른 한 손에는 반쯤 타서는 재를 게워내고 있는 담배가 들려 있었지. 지금은 기억나지 않는 그녀를 난 30-40분 정도 기다리고 있었던 것 같아. 추웠던지, 똥줄이 탔던지 담배를 꽤 피웠던 기억...생생해. 그녀가 오면 보라고 주위에 있는 몇 개의 꽁초까지 모아서 일부러 수북하게 보이게하려고 오른발로 쓸어 모았던 기억도 나. 많이, 그리고 간절하기 기다렸던 것 같아.

 

  끝내 그녀는 오지 않았어. 아무래도 내가 일방적인 데이트 제안을 하고 기다렸던 것 같아. 그리고 그녀는 나쯤은 괘념에도 없었던 것도 같아. 애타게 기다린 나도 나지만, 끝끝내 나타나지 않은 그녀였던 걸 보면 말야. 영화가 시작한 후 10분 정도를 그 자리에서 더 기다렸던 것 같아. 담배갑에 든 마지막 담배에 불을 붙이고, 영화표를 아주 잘게 찢었지. 그리고 내 머리 위로 뿌렸던 기억이 생생해. 나를 지나가던 사람들은 내가 그런 이상한 짓을 하는 줄 몰랐을거야. 그 날은 찢어진 영화표보다 훨씬 더 크고 하얀 눈이 내리고 있었거든.“

 

  며칠 전 지금의 ‘그녀‘에게 말했던 내 스무 살의 크리스마스 이브 이야기다. 바보같은 사내의 꽁트같은 이야기에 그녀는 숨이 넘어갈 듯 까무러치는 웃음에 더욱 신명나게 떠들었지만 고이 숨겨 두었던 아픈 기억에 가슴이 아팠다. 그랬구나, 내가.

  누구였을까 그녀는. 알 듯 모르겠다. 이럴 땐 ’잊어야지‘ 마음먹으면 정말 까맣게 잊고 마는 신기한 기억력이 미워진다. 이 이야기를 꺼낼 때 내 손에 든 것은 반쯤 타고 남은 담배가 아니라 소설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였다. 이 소설의 시작은 내 이야기와 비슷한 즈음인 어느 겨울의 크리스마스였다.

 

 

 

 

  묵은 사랑은 애절하다. 기억이 흐릿할 만큼 세월이 지날수록 애절한 향내는 더욱 진해진다. 어려서 사랑을 아직 몰라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자위를 하지만 사실은 가장 순수하고 뜨거운 사랑을 감당하지 못해서 내쳤는지도 모른다. 그냥 좋았을 뿐 아무런 조건이 없던 그때, 느껴지는 것은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다는 하나’ 뿐이었다.

  소설의 나는 남편으로부터 버림받은 불쌍한 아내의 아들이다. 젊디젊은 톱 탤런트에게 새장가를 간 중년의 배우 아버지, 나에게 그는 미美를 쫓는 나방이었다. 백화점에서 같이 근무하는 ‘끔찍하게 못생긴’ 그녀가 눈에 들어온 건 새장가간 아버지가 반면선생反面先生이 되었는지 모른다. 아니, 버려진 어머니에 대한 연정인지도 모른다.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 그녀를 ‘나’는 좋아하기 시작한다.

 

  나와 못생긴 그녀와의 사랑 이야기는 자못 싱거울 수 있다. 미추노소美醜老少를 불문하고 당신들의 사랑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랑이 아니던가? 맞불이 붙은 사랑에는 타인의 시선일랑 아랑곳없다. 원래 사랑하는 연인에게 세상은 ‘우리를 주인공으로 하는 영화’의 그 채도와 명도 역시 두 단계쯤 낮아진 배경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상대를 떠나 ‘못난이’인 나 역시 흘러온 시간만큼 사랑을 경험했고, 그 때만큼은 소중한 시간이었기에 이들을 지켜봄은 심드렁할 만하다. 자칫 건조할 뻔 했던 이 소설을 읽은 동안 구름을 걷듯 즐겁게 하고, 내 눈에 뿌려진 안개를 걷어주는 역할을 맡은 세 번째 주인공은 바로 ‘요한’이다.

 

  요한은 헤르만 헷세의 ‘데미안’을 닮았다. 적에게 총칼을 겨눴던 2차 세계대전의 전장에서 피아彼我 구분할 것 없이 젊은 병사들의 가슴 속에 들어 있던 그 책의 주인공, 데미안을 닮았다. 데미안은 ‘형’ 그리고 ‘친구’의 다른 이름이다. 나와 함께 동시대를 살면서 내가 모르는 세계를 보여주고, 내가 알아야 할 진리를 함께 고민하는 동반자, 그는 그런 인물이었다. 하지만 ‘요한’은 독설쟁이다. 신원을 알 수 없는 데미안의 말들이 신비했다면, 재벌가의 첩자식인 요한의 독설은 ‘지화자’을 연발할 만큼 명쾌하고 시원하다.

  소설의 ‘내’가 입을 떡 벌리고 들을 법한 세상에 대한 그의 삐딱한 시선은 늘 왕눈이 안경을 뒤집어 쓴 박민규의 시선이고 생각이 아닐까. 내가 호불호好不好의 이분법적 수렁에서 벗어나 세상을 다시 대하고, 그녀를 만날 수 있었던 것도 ‘요한’이 있어서였다. -데미안과 요한, 비슷한 캐릭터의 두 사람의 이름은 묘한 아이러니다. 데미안이 Demon 즉, 악마적 이름이라면, 독설쟁이 요한은 그리스도에게 가장 가까이 있었던 ‘그리스도의 선구자다 -

 

  내가 요한에게서 들은 첫마디는 백화점 주차 알바에서 살아남는 법이었다. 난(글을 쓰는 나) 그의 첫 번째 대화에 그만 홀랑 반해 버렸다. 그 시절의 나였다면 잠시라도 요한과 떨어지지 않으려 했을 것이다.

 

“괜한 친절을 베풀지 마. 주차할 때 뒤를 봐주거나 오라이~ 이런 거 해주지 말란 말이야. 그러다 쿵 하면 너한테 변상하라고 덤비는 게 인간이야. 정 주차가 서툰 운전자면 나나 면허를 가진 근처 직원에게 부탁해. 어이~ 뒤 좀 안 봐주고 뭐해, 따지는 놈도 있지? 대개 그런 놈들은 큰 차 모는 놈들이야. 상황 봐서 최대한 조심하고...혹시나 말이야, 그러다 쿵 해쓴데 고급세단이나 외제차였다! 그럼 니가 행 할 행동을 일러줄 테니 반드시 입력해 둬. 우선 말없이 완장과 모자를 던져버려. 그리고 뒤를 돌아보지 말고 사무실로 뛰는 거야. 주임이 있으면 기절이라도 시키고 책상 오른 쪽 두 번째 서랍을 열어 신상명세서를 찾는 거야. 그걸 찢어 삼키든지 태우든지 하고 곧장 집으로 도망쳐. 그리고 다른 일자리 알아보는 거야. 알았지?” 본문 88 쪽

 

  요한은 아니, 아니에요를 연발하는 그녀에게 아니에너스라 이름짓고, 그녀를 닮아가는 나에게 아니우스라 부르며 바보 같은 두 사람을 맺어준다. 남의 고민을 발벗고 해결해주는 사람, 남을 즐겁게 해주어 함께 웃으려 하는 사람. 요한은 실은 절대고독의 개미지옥에 빠져 있는 외로운 사람이다. 선구자 요한처럼 세상의 헛헛함을 알았던 것일까, 진절머리 칠 만큼 버려진 사랑을 너무 일찍 안 탓일까, 하나였던 세 사람이 둘이 되자 결국 손을 그어 제 명命을 재촉하는 바보가 된다.

 

이들이 모이는 아지트는 몰락해 가는 재래시장의 초입에 있는 맥주집 '켄터키 치킨'이다. 간판에 BEER 대신 BEAR가 붙어있고, HOF 대신 HOPE가 떠억 자리잡고 있는 곳, 단골이라고 닭다리가 일곱 개가 나오는 이곳은 뒤죽박죽 섞여버린 세상의 축소판이다. 배를 잡고 웃으며 말하는 그곳 풍경은 사뭇 대학시절 즐겨찾던 ‘딸깍발이’가 생각났다.

 

“왜 그렇게 우스웠는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그날 우리는 지겹도록 웃고 또 웃었다. 켄터키 옛집인 듯한 풍경은 알고 보니 네덜란드였고, 스와니겠지 싶었던 강은 아마존이었다. 게다가 버젓이 네바다 사막이며 나이아가라의 사진도 걸려 있었다. 좋아, 다 좋은데 저 돼지는 뭐냐구? 닭이면 또 모를까...닭을 튀기는 주방 근처엔 새끼 돼지들이 줄줄이 엄마 돼지의 젖을 문 이발소 그림이 걸려 있었다. 이 닭도 한국에서 잡은 걸 텐데...또 메뉴판을 뒤지며 켄터키에 마른 오징어라니...이래도 되는 거냐구, 거품을 물었었다. 컨터키의 어떤 것도 찾을 수 없는 가게의 출입구 위엔 알고 보니 무난하게 갓이 걸려 있었다. 급기야 화장실에 간 요한은 이소룡을 발견했었다.” 본문 95 쪽

 

  여자로서 못생긴 그녀가 본 한국은 화장을 하지 않고선 외출하기가 두려운 사회, 남자와 여자가 철저하게 구분되는 야만적 사회다. 또 추함은 죄가 되고, 못생겨서 받는 차별은 추함의 댓가로 달게 받아야 하는 당연한 벌罰로 인정하는 사회다. 그래서 못생기고 추한 사람은 그 반대의 부류를 위해 존재하는 배경이 되고, 그들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엑스트라다. 바로 디에고 벨라스케스가 평생동안 눈을 떼지 못했던 왕녀를 시중드는 시녀와 다름아닌 것이다. 박민규를 이 소설에 대한 변으로 이렇게 말했다. “저는 늘 스펙만을 강요하는 사회에서 경쟁력 없이 살 수밖에 없는 대다수 사람들을 위로하고 싶었습니다. 삼미 슈퍼스타즈가 남자들을 위한 소설이었다면, 이번 소설은 여자들에게 위로를 줄 수 있었으면 합니다.”

 

  어쩌면 이 땅의 모든 사람들은 못생긴 사람들이다. 비교우위를 점하는 자신감에 사로잡힌 불쌍한 사람들이다. 남보다 더 많이 갖고, 더 예쁘고 잘생겨야 행복해진다고 여기는 불쌍한 추물醜物들이다. 행복은 자존감에 있다. 잘나고 못난 것을 인정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나’라는 자존감은 자신에 대한 사랑으로부터 비롯된다. 박민규는 그녀가 독일에서 ‘못생긴 여자’가 아닌 ‘한 명의 독신 동양인’으로서 살아가는 모습을 통해 지금도 수술대에서 의사의 칼침을 기다리는 수많은 못생긴 사람들이 가져야 할 것 역시 자존감自存感이라고 말하고 싶었던 건 아닐까.

 

  기존의 소설에서 찾을 수 없는 독특한 구성과 파격적인 문단 구성은 박민규답다는 찬사를 안할 수 없다. 시종일관 독자로 하여금 이십 년 전의 차가운 겨울을 느끼게 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만약 내가 첫사랑과 스무 살을 추억하고 싶어진다면 다시 읽어야 할 책은 이 소설이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권말에 붙어 있는 CD와 엽서다. 잘 된 작품에 굳이 없어도 됨직한 사족이었다(난 아직도 그 부록을 개봉하지 않았다). 독자를 위한 배려였다면 지나쳤고, 완성도를 높이려 했다면 착각이다. 앞으로도 쇄를 거듭해 널리 읽힐 것이 자명한 이 소설, 온전히 제 한 몸이길 바란다.

 

 

 

 

 

 

 

리치보이가 추천하는 12월의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