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Some place../오늘의 책이 담긴 책상자

리치보이가 주목한 오늘의 책 - 중국을 읽다(카롤린 퓌엘)

by Richboy 2012. 1. 27.

 

 

 

다시 대륙을 뒤흔들고 세계를 호령하게 된 중국의 고속 성장기 1980-2010 중국의 현재를 만든 30년을 통해 중국을 움직이는 원칙과 속마음, 그리고, 중국의 내일을 읽는다

세계무대에 다시 강대국으로 올라선 중국, 국제 정세를 주무르는 주인공이지만 여전히 미지의 대륙, 두려움의 대상인 중국이 다시 두각을 나타낸 것은 어떻게 가능했을까? 현재 중국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1980년부터 시작해서 최근 30년의 핵심 사건들을 기록한 《중국을 읽다 1980-2010》이 도서출판 푸른숲에서 발간되었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은 눈부신 성장과 함께 극심한 갈등도 겪었다. 그리고 바로 이 기간 동안 오늘날의 중국을 이해하고, 아울러 미래의 중국을 예측할 수 있는 핵심 사건들이 일어났다.
저자는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사회주의적 시장경제’로 대표되는, 중국의 유례없는 시스템 실험을 저널리스트 특유의 날카로운 시선으로 기록, 분석한다. 뿐만 아니라 개혁·개방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중국인들이 가졌던 기대감과 불안에서부터 시행착오를 거칠 때의 당혹감, 원하는 것을 이뤄냈을 때의 성취감과 자부심 등, 굵직한 사건들이 터졌을 당시 대륙에서 일어났던 다양한 모습-최고 수뇌부의 상황은 물론 일반인의 삶에 이르기까지-을 세밀하게 묘사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지금까지는 알려지지 않았던 중국의 실체를 사실적이며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프랑스 언론계에서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알베르 롱드르 상’을 받은 저자 카롤린 퓌엘은 개혁·개방 초기에 <르푸앵>, <리베라시옹>의 중국 사무소를 만들고, 이후 30년간 중국 대륙에 체류하면서 개혁·개방의 여정을 고스란히 목도한 프랑스에서 손꼽히는 중국 전문가이며, 지금도 그 현장에서 뛰고 있는 저널리스트다.

 

저자 카롤린 퓌엘 Caroline Puel은 중국의 심장부에서 30년간 개혁·개방의 과정과 인민들 삶의 변화를 목격하였으며, 이에 대한 객관적이고 분석적인 기사를 꾸준히 써온 공로로 1997년에 프랑스 언론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인 ‘알베르 롱드르 상’을 받았다. 파리정치대학을 졸업하였으며 중국외교학원에서 수학했다. 1984, 87~88년에 주중 프랑스 대사관 언론 보도 담당관을 지냈다. 1993~97년에는 <리베라시옹>, <르푸앵> 홍콩 주재 아시아 특파원으로 활약했으며, 베이징에 이 매체들의 중국 사무소를 설립하고 중국 특별판을 발간했다. 1998년부터는 베이징에 상주하면서 중국과 동남아시아, 북한, 몽골 등을 다루는 기사를 썼다. 2004년부터는 파리정치대학에서 중국 현대사를 가르치고 있으며, 2006년부터 ‘Steering Committee of the Women’s Forum Asia’의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중국 현대미술과 작가, 문학에 관한 15권의 저서를 펴낸 예술 평론가이기도 하다.

 

1980-2010, 중국 역사는 물론 세계사에도 변곡점으로 기록될 시기 이 격랑의 시대를 중국인들과 함께 고스란히 겪어낸 프랑스 중국 전문가가 구석구석 발견하고 기록한 중국 현대사

저자는 1980년부터 2010년까지 중국 개혁 30년의 주요 사건들을 연대순으로 선별하여 중국의 변화를 살펴본다. 여기서 저자 스스로 밝히듯이 “서구 저널리스트이자 급격한 변화를 지켜본 목격자로서 오늘날의 중국에 판단의 잣대를 들이대기보다는 명백한 사실들을 전달하고자” 한다. 1980년대를 다룬 1부 ‘덩샤오핑, 백 년 후 중국을 기획하다’에서는 덩샤오핑이 기획한 작은 차원의 개혁들이 대륙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변화의 도화선이 된 이야기를, 1990년대를 다룬 2부 ‘중국, 세계 자본주의와 충돌하다’에서는 단기간에 경제적으로 도약한 시기에 급진적 변화를 겪고 나서 전제주의에서 벗어나 ‘하이브리드’ 정치체제를 갖추고, 계획경제에서 벗어나 시장경제를 도입하며 세계화 추세에 발맞추는 과정에서 완전히 바뀐 사회 모습을 보여준다. 이어서 2000년대를 다른 3부 ‘화평굴기’에서는 중국 역사상 처음으로 외세의 개입 없이 순수한 자기 의지로 본격적인 세계화를 추진한 시기에 중국이 국가 이미지를 관리해가는 모습을 통해 중국의 현재 및 미래를 그려본다.
저자는 서문에서 역사적 사건을 통해 중국을 이해하는 두 가지 통찰을 제시한다. 하나는 문명의 중심이자 동아시아 절대 강대국이었던 ‘중화의 명성을 되찾겠다는 강한 집념’이다. 다른 하나는 중국공산당은 빈곤이나 인권 문제보다도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바로 권력 유지이기 때문에 모든 정책이 ‘안정’을 최우선으로 두고 추진된다는 점이다. 저자는 이러한 두 가지 신념을 기반으로, 개혁·개방의 매 단계마다 변형되어 실행된 핵심 원칙들이 어떻게 적용되었으며 그것의 결과는 무엇인지 밝힌다.

 

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