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Some place../書架에 꽂힌 冊

시간도둑 으로부터 어떻게 우리의 소중한 시간을 지킬 것인가?

by Richboy 2014. 12. 3.




"마르셀 에메의 단편소설 <생존 시간 카드>(벽으로 드나드는 남자, 문학동네, 2002)는 시간이 거래되는 가상의 세계를 그리고 있다(여기까지는 우리와 같다). 그런데 자기에게 부여된 시간이 필요 없는 사람(혹은 시간보다 돈이 더 절실한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그것을 팔 수가 있다. 부자들은 돈은 많은데 시간이 없다. 반면 가난한 사람들은 월급 받아서 하루하루 살아가기가 벅차고 때로 고통스럽다. 그러니 가난한 사람들은 자기 시간을 부자에게 팔아 생활비를 마련한다. 그 결과 부자의 달력에는 4월 38일, 9월 33일 같은 날짜들이 덤으로 주어진다.

돈을 주고 산 시간에 그들은 골프도 치고 여행도 가고 마음껏 인생을 즐길 수 있다. 반면 가난한 자의 달력은 4월 25일로 끝난다든가 5월 27일가지 밖에 없다든가 하게 된다. 즉 5월 27일에 잠든 가난한 사람은 6월 1일 아침에 깨어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런 일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다.  부자에게든 빈자에게든 주어진 시간은 똑같다(다만 그 가격이 다르다. 부자의 시간은 비싸고 빈자의 시간은 싸다. 소득을 시간으로 나누면 재벌 그룹 총수가 한 시간에 버는 돈이 평범한 샐러리맨 대리가 일 년간 버는 연봉보다 많을 것이다. 소득이 높으면 휴식의 가치도 덩달아 치솟는다. 예컨대, 하루에 천만원을 버는 성형외과 의사에게는 하루의 휴식이 천만원짜리가 된다. 반면 하루에 십만원을 버는 노동자에게 하루의 결근은 십만원짜리에 불과하다. 그래서 고소득자 중에 일중독자가 많다고 한다).

(중략)

마르셀 에메의 소설에서는 부자가 빈자에게 직접 시간을 산다. 이런 시스템은 차라리 축복일지도 모른다. 하루에 천만원을 버는 성형외과 의사가 하루에 만원을 버는 알바생에게 하루를 산다면 최소한 만원 이상의 돈은 치를 것이니까. 잘하면 꽤 많은 돈을 받아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좀더 엄혹하다. 우리의 시간은 애플과 삼성이 만든 스마트폰이 공짜로 빼앗아간다. 게다가 돈도 우리가 낸다. 또한 그들이 만들어 놓은 창을 통해 카카오톡 같은 메신저 서비스가 침투해 또 우리의 시간을 빼앗고 메시지가 오지 않는 시간에는 게임회사가 나타나 우리의 주의를 독점한다. 부자와 빈자 모두 스마트폰에 시간을 빼앗기지만 양상은 빈자에게 좀더 불리하다. 시간을 돈으로 환수하는 감수성이 발달한 부자들은 점점 스마트폰에 들이는 시간을 아까워하기 시작했다.

뉴욕타임스는 최근 뉴욕에서 유행하는 '폰 스택(Phone Stack)'게임을 소개했다. 룰은 간단하다. 고급 식당에 모여 식사를 할 때 모두의 휴대폰을 테이블 가운데 쌓아놓고는 먼저 폰에 손을 대는 사람이 밥값을 내는 것이다. 이 게임은 얼핏 보기에는 스마트폰에 주의를 빼앗기지 말고 대화와 식사에 집중하자는 건전한 뜻을 품고 있는 것 같지만, 파워 게임의 면모도 있다. 더 오랜 시간 스마트폰에 무심할수록 더 힘이 강한 사람, 더 지위가 높은 사람이라는 것을 이제 모두가 알아가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부자들이 스마트폰으로부터 멀어지는 사이, 지위가 낮은 이들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높아지고 있다. 부자나 권력자와 달리 사회적 약자는 '중요한 전화'를 받지 않았을 때의 타격이 더욱 크기 때문이다. 애타게 구직을 하는, 어제 면접을 본 회사로부터의 연락을 기다리는 젊은이가 스마트폰을 끄고 친구와의 대화에만 온전히 집중하기는 어렵다. 그건 사치다. 하루종일 스마트폰을 만지락거리면서 혹시나 배터리가 다 떨어지지는 않았는지 초조하게 체크할 것이고, 그러다가 포털 사이트에 들어가 이런저런 뉴스를 검색하게 될 것이고, 친구로부터 온 별 중요치도 않은 메시지에 답장을 쓰게 될 것이다. 직급이 낮은 직원이라든가 거래처와의 관계에서 을의 처지에 있는 이들 역시 스마트폰의 전원을 함부로 끄지 못한다.

스티브 잡스라는 천재는 스마트폰이라는, 이름도 그럴싸하고 모양도 근사한 멋진 물건을 우리에게 선사했다. 그런데 이 앙증맞은 전자제품이 책과 신문, 잡지, 눈앞에 앉아 있는 친구 등이 사이좋게 나누어 갖던 시간이라는 희소한 시간을 잠식하기 시작했다. 카페에 모인 친구 넷이 말없이 각자의 스마트폰을 들여다보고 있는 모습은 이제 세계 어디에서나 목격되는 풍경이다.

스티브 잡스는 마르셀 에메의 소설을 더 나쁜 방향으로 실현시켰다고 할 수 있다. 이제 가난한 사람들은 자발적으로 자기 시간을 헌납하면서 돈까지 낸다. 비싼 스마트폰 값과 사용료를 지불해야 하는 것이다. 반면 부자들은 이들이 자발적으로 제공한 시간과 돈을 거둬들인다. 어떻게? 애플과 삼성 같은 글로벌 IT기업의 주식을 사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의 부자가 한국의 가난한 젊은이에게 직접 시간 쿠폰을 살 필요는 없다. 그들은 클릭 한 번으로 얼굴도 모르는 이들의 시간을 헐값으로 사들일 수 있다.

이런 세계에서 어떻게 우리의 소중한 시간을 지킬 것인가.


<보다, 김영하, 문학동네, 2014>중에서


김영하의 소설도 좋지만, 나는 그의 생각을 만나고 싶었다. 엄밀히 말하자면 그의 시각이 궁금했다.

내 갈증에 딱 어울리는 제목의 산문집이 나왔다. 그의 관점은 신선하고 놀랍고 즐거웠다. 그 중 인상적인 대목을 옮겨봤다.


2년전 나는 '스마트폰을 없애버릴까' 심각하게 고민한 적이 있다.

카카오톡을 통해 수도 없이 울리는 '게임권유 알람' 때문이었다. 고민 끝에 스마트폰을 없애는 대신 게임 권유 알람을 울리게 한 장본인들을 카카오톡에서 지웠다. 게임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내게 그런 요청을 보낼 사람이라면 '나를 잘 모르는 사람'이거나 '게임에 빠진 한심한 사람'이라고 판단해서였다.

모든 원흉은 '스마트폰'에 있다. 우리가 게임에 빠지고, 스마트폰에 빠져 소중한 시간을 허비하는 만큼 게임회사와 애플과 삼성 등의 스마트폰 제조업체의 주가는 높아지고 있다. 무엇인가 새로운 것을 만나 익숙해지는 동안 '미친듯이 즐기는 법'이다. 스마트폰을 만난 지 수년이 흘렀다. 지금은 금쪽같은 시간을 여전히 바칠 것이 아니라 녀석을 잘 활용해 오히려 시간을 벌 때다. -Richbo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