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경제 주간지들이 꼽는 2007 꼭 알아야 할 경제흐름 8가지 | ||
이코노믹리뷰 | 기사입력 2006-12-28 09:39 | ||
“대체 에너지 기업 뜨고 신흥시장 소비재 기업 각광” 【 2007 세계 경제 트렌드 8선 】 올 한 해 세계경제는 어떤 모습일까.’ 지난해 사상 최고의 호황을 누리던 미국 경제가 숨고르기에 들어간 가운데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 하락이 진행되면서, 세계 경기의 급랭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일각에서 고개를 들고 있다. 세계적인 경제주간지 신년호에 실린 2007 경제 전망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 1. 美 경제 숨고르기…경착륙은 없다 무엇보다, 부동산 상승세가 꺾이고 있는 점이 부담거리. 경제주간지 <비즈니스 위크>는 올해(2007년) 신년호에서 미국의 주택 가격이 올해 지역별로 3~10% 정도 떨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D)가 지난 2년 간 이자율을 꾸준히 올려온 것도 또 다른 부담거리. 일부 한계 소비자들의 급격한 소비 위축을 불러올 수 있는 여건들이 조성되고 있는 것. 일각에서는 이에 따라 부동산 급락, 소비 냉각, 세계경제 급랭으로 이어지는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조심스럽게 거론하고 있다. 舊嗤?전문가들은 숨고르기에 들어간 미국 경제가 올해 성장속도는 다소 둔화되겠지만 견실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영국의 〈이코노미스트〉도 세계경제가 미국발 악재로 경착륙(crash)할 가능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내다보았다. 분석 2. 미 주택價 하락 폭은 ‘ 3~10%’ 〈포천〉은 골드먼 삭스 등의 보고서를 인용하며 올해 전국의 집값이 3~10% 정도 하락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실제로 일부 대도시(Metropolitan)를 중심으로 집값이 빠지고 있는 데, 지역별로는 지난 1990년대 주택 대부 조합의 잇단 파산으로, 미국 전역을 유동성 위기로 몰아넣었던 플로리다, 캘리포니아, 네바다, 텍사스 등이 상대적으로 큰 낙폭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물론 집값 상승 도미노에서 지금까지 한걸음 비껴서 있던 댈러스나 휴스톤 등은 올해 집값이 오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았다. 다만 이 경우에도 인상폭은 한자릿수에 그칠 것이라고 〈비즈니스 위크〉는 덧붙였다. 일자리가 꾸준히 늘고 있는 시애틀도 집값 상승 후보지이다. 〈비즈니스 위크〉는 미국경제의 펀더멘털이 어느 때보다 좋고, 근로자들의 실질소득 또한 최고 수준이어서, 집값 하락이 일각의 우려와 달리 심각한 경기침체(recession)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하기도 했다. 분석 3. 집값 하락해도 소비급랭 없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집값 하락이 소비심리의 급속한 위축을 부르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포천> 신년호의 분석. 무엇보다 미국 기업의 세후 수익이 사상 최대 규모다. 세후 기업이익은 국내 총생산의 10.1%에 달했다. 이 수치는 지난 2005년 이전 9%를 넘은 적이 없다.여기에 소비자들도 지난해 가장 높은 실질 소득 상승률을 기록하는 등 기초 체력이 어느 때보다 뛰어나다는 지적이다. 〈비즈니스 위크〉는 이와 관련해 미국 기업들이 지난 20년 간 군살을 빼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경영에 접목하면서 유럽이나 일본기업에 비해 더 높은 경쟁력을 자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지난해와 같은 높은 이익률이 올해 다시 재연되기 어려울 것으로 관측했다. 또 저축이 적고, 부채 비중이 높은 소비자들은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 따라서 이들을 상대로 한 업종이 지난해에 비해 다소 부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물론 지난 2년 간 꾸준한 금리인상으로 소비자들이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부 경제학자들이 경기침체의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언급하고 있다는 〈이코노미스트〉의 보도도 눈에 띈다. 분석 4. 경기하락 선제적 대응…금리인하 가능성에 무게 기업들의 재고가 증가하고,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주택 가격이 하락하는 등 미국 경제가 ‘숨고르기’ 양상에 들어서는 조짐이 서서히 나타나면서, 지난 2년간 금리인상 행진을 벌여온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금리를 소폭 내려 미국 경제의 연착륙을 유도할 것이라는 분석. 〈비즈니스 위크〉는 경기 둔화가 일정한 시차를 두고 고용 시장이나, 인플레이션 지표 등에 영향을 준다는 한 전문가의 말을 인용하며, 앞으로 각 부문에서 경기 하강의 조짐이 점차 뚜렷해질 것이라고 보도했다. 하지만 금리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학자들도 소수이긴 하지만 그 세가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 임금 비용 인상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박이 여전하다. 특히 올해도 미국 소비자들의 소비 추세가 결코 꺾이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이들의 주장. 영국의 〈이코노미스트〉지도 비슷한 견해.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앞으로 강력한 금리인하 압박을 받게 되겠지만, 가격 지표(price signal)들이 여전히 과열 조짐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를 내리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관측했다.엇갈린 신호를 보내는 경기지표가 혼재해 있어 경기진단의 혼선을 초래한 것. 분석 5. 달러 약세 지속…유럽중앙은행 금리인상 유럽과 일본 중앙은행이 이자율 인상을 단행하고 있는 것도 부담거리. 유럽중앙은행은 꾸준히 이자율을 인상하고 있으며, 일본 은행도 최근 이자율 인상 대열에 막 합류했다. 미국의 금리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의 여파가 해외 투자의 물꼬를 이들 나라로 돌려 달러가치 하락을 불러올 것이라고 〈비즈니스 위크〉는 분석했다. 여기에 중국이 외환보유액 가운데 유로화, 엔화 등 달러 이외의 통화 비율을 점차 늘려나가고 있어 올해 달러화가 급락을 할지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는 것. 〈비즈니스 위크〉는 미국의 경기침체가 현실로 나타날 경우 달러의 급격한 가치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물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분석했다. 또 유로화가 달러화를 대체할 수 있는 유력한 투자수단이 될 것으로 내다보았다. 한편, 중국, 사우디 등이 자국의 외환보유액에서 차지하는 유로화의 비중을 서서히 늘려나가면서, 기축 통화로서 유로화의 위상도 올해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분석 6. 신흥시장 소비재 기업, 새로운 스타부상 중국이 국제 에너지 시장의 큰손으로 부상하고 국제 유가가 고공비행을 하면서, 원자재를 생산하는 브라질, 베네수엘라, 러시아를 비롯한 자원 대국들의 무역흑자가 큰폭으로 늘고 있기 때문이다. 만성 무역적자국이던 브라질은 지난해 380억달러에 달하는 흑자를 기록했다. 브라질은 특히 소득보전 정책의 일환으로 취학 아동을 두고 있는 1100만 빈민가정에 매달 60달러 정도를 보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국가의 저소득층이 새로운 소비집단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들을 겨냥한 기업들이 에너지 관련 기업에 이어 올 들어 각광을 받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비즈니스 위크〉는 보도했다. 분석 7. 인도·러시아· 중국 미술품 시장 공략해야 하지만 3년 전부터 미술품 값은 치솟기 시작했는 데, 올해 64세인 이 투자자는, 그의 성공 사례에 자극을 받은 다른 투자자들이 중국 미술시장으로 몰려들자 이번에는 쿠바의 미술품을 사들였다고. 브라질 등 중남미 국가, 러시아, 체코 등이 글로벌 경쟁의 무대에 가세하며, 백만장자 대열에 합류하는 이 나라 국민들도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들이 자국의 부동산, 주식은 물론 미술품도 재테크 수단으로 활용하면서 미술품의 가격도 치솟고 있는 것. 분석 8. 그린 에너지 관련 기업에 주목하라 그의 친환경 행보는, 공화당 부시행정부의 집권으로 지금까지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민주당이 지난해 11월 중간 선거에서 공화당에 압승하면서 탄력을 받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는 전 세계적으로 대체 에너지 관련 기업들이 다시 한번 주목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포천>은 전망했다. 박영환 기자(blade@ermedia.net) |
'About Richboy... > 人 · 物 · 形 ...확~ 땡기는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품 수집> 등락 거듭하는 중국 주식시장… 거침없이 오르는 미술시장 (0) | 2007.08.20 |
---|---|
<미술품수집> 중국·쿠바 현대미술 세계적 컬렉터 하워드 파버 인터뷰 (0) | 2007.08.20 |
세계최고 호텔 두바이 ‘버즈 알 아랍’에 스카우트된 8인의 한국요리사 (0) | 2007.08.17 |
미켈란젤로가 장어와 와인 즐긴 까닭은? (0) | 2007.08.14 |
세컨드라이프는 제2의 인터넷 (0) | 2007.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