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뷰모음 - Readingworks/자기계발

불교의 오계五戒 를 [현대인의 시각]으로 풀어낸 틱낫한 스님의 책!

by Richboy 2008. 6. 28.
지은이
출판사
마음터
출간일
2008.6.10
장르
시/에세이/기행 베스트셀러보기
책 속으로
틱낫한의 마음챙김 수련법을 담은 『마음속으로 걸어가 행복하라』. 2천5백여 년 전, 부처는 도탄에 빠진 인간들에게 평화롭고 행복한 삶의 길잡이가 되어줄 다섯 가지 계율을 전했다. 이 책은 평안과 행복을 가져다주는 부처의 메...
이 책은..불교의 오계五戒 를 [현대인의 시각]으로 풀어낸 틱낫한 스님의 책!
나의 평가
꽤 괜찮아요꽤 괜찮아요꽤 괜찮아요꽤 괜찮아요꽤 괜찮아요
불교의 오계五戒 를 [현대인의 시각]으로 풀어낸 틱낫한 스님의 책! 
 
  내가 틱낫한 스님을 처음 만나게 된 것은 그 분의 책[화anger] 를 통해서였다.
이 책에서 그분은 함부로 떼어낼 수 없는 신체장기처럼 화도 우리의 일부이므로 억지로 참거나 제거하려 애쓸 필요가 없다고, 오히려 화를 울고 있는 아기라고 생각하고 보듬고 달래라고 충고하고 조언하셨다. '마음의 상처에서 생겨 끝내 습관이 되고 마는' 이 화는 '마음의 씨앗'이므로 이를 인정하고 찬찬히 들여다보고 결국 다스릴 수 있는 '마음 밭 갈기'로 풀어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떠한 자극에도 감정의 동요를 받지 않고 늘 평상심을 유지하는 방법을 책 [화anger]에서 말씀해 주셨다. IMF 외환위기를 가까스러 뛰어넘은 후 미쳐 추스리지 못했던 우리들의 [울화]를 스스로 치유할 수 있도록 조언해 준 좋은 책으로 기억한다. 그 후부터 기회가 되면 그분의 책을 [산사]로 삼고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는 시간으로 마련하려고 노력했다.
 
이 책 [마음속으로 걸어가 행복하라]는 2,500 년전, 부처가 세속의 제자들에게 완전하고 평화롭고 행복한 삶의 길잡이가 되어줄 오계五戒 즉, 불교도이면 재가자나 출가자( ) 모두가 지켜야 하는 가장 기본적인 생활규범을 틱낫한 스님의 시선으로 현대에 맞게 잘 풀이해 놓은 책이다.  살생하지 말라[ ],  도둑질 하지 말라[ ],  음행을 하지 말라[ ],  거짓말을 하지 말라[ ],  술을 마시지 말라[ ] 의 오계를 지켜나감을 [정념수행]이라고 해서 스스로를 아끼고, 상대를 아끼고, 인생을 아낀다면 이 다섯 가지 정념 수행을 실천에 옮기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스님은 말씀하신다.
 
살생하지 말라[ ]의 계를 나타내는 '생명존중'은 스스로 살생하지 않는 것을 포함해 살생을 묵과하지 않도록 결심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한다. 부처는 마음이 곧 모든 행동의 근원이기에 마음으로 살생을 저지르는 일이야말고 가장 위험하므로 혼란과 절망, 분노와 증오가 발생하는 상황을 만나거든 그 상황의 원인을 찾아내는 통찰력을 키워 그 본질을 찾아 이해하라고 말씀하신다. 그리고 내면의 평화를 찾기 위해 [명상식 호흡법]을 설명했는데, 당황스러운 상황에 봉착할 때마다 하던 일을 멈추고 말을 삼가고, 들숨과 날숨을 반복하면서 그 호흡에 집중하고, 그래도 진정이 안되면 천천히 걸으면서 호흡에 정신을 집중시키는 걷기 명상을 시도하는 방법이 좋다고 했다. 화가 나거든 바로 대답하지 말고 큰 숨을 하나로 두고 열을 쉰 후에 답하라는 어느 처세관련서의 말이 떠오르는 대목이었다.
 
도둑질 하지 말라[ ]의 계를 설명하는 [관용]은 두 번째 정념 수행으로 절도와 착취, 압제를 대신해 관용을 실천하라고 말씀하셨다. 불교에서는 물질적 축복, 스스로의 의지로 자립할 기술을 터득할 수 있는 능력, 담대함이라는 세 가지 선물이 있는데, 그 중 담대함은 질병과 외로움, 그리고 죽음에 대한 공포심을 느끼는 우리 인간들이 파멸에 이르지 않도록 돕기 위해 마음을 나누는 좋은 선물이다. 그래서 우리가 누군가를 안심시키고 삶과 죽음과 사람들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줄 수 있다면 [담대함]을 선물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음행을 하지 말라[ ]의 계를 설명하는 [성적性的 책임]은 세 번째 정념 수행으로 상대방에 대한 감사의 마음이 담긴 사랑을 통한 관계를 유지할 것을 권유하셨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랑의 본질을 올바로 이해하여 감정을 바로 보고 얕은 감정에 속지 않는 지혜를 익혀야 함을 강조하셨다. 다시 말해 다른 사람을 사랑하거나 흠모한다고 느끼는 것은 사실으 스스로의 이기적인 욕구를 충족�미기 위한 감정의 유희인 만큼 그런 상황은 상대방으로부터 따뜻한 보호와 관심이 필요한 시기라는 것을 깨닫거나 그것을 보호해줘야 욕망의 대상으로 여겨지지 않는다고 전한다.
 
거짓말을 하지 말라[ ]의 계를 설명하는 [깊은 경청과 사랑의 말]은 네 번째 정념 수행으로 우리는 말을 조심하는 세심한 배려만으로도 다른 이들을 행복하게 해줄 수 있고, 자애의 마음으로 타인의 말에 구의를 기울이는 이른 관용을 실천하는 길이라고 전한다. 그래서 일상에서 상대방에게서 듣는 생각과 배려 없는 말로 인해 상처를 받거든 '당신의 말이 상처가 된다. 이것을 알아주었으면 좋겠다'는 표현을 확실히 해서 상대에게 알림으로 더 이상 듣기를 거부한다는 것도 알리고, 스스로에게도 앙금으로 남겨지지 않도록 하라고 충고하신다. 그리고 진지하고 충실한 태도로 대화에 응하고, 상대방의 말을 들을 때는 그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경청하는 자세가 이 네 번째 정념 수행을 실천하는 길이라고 전한다. 보살 수행이기도 한 이 정념 수행은 도움을 얻기도 하지만, 도움을 주어야 하는 것으로 이 숭행으로 사람들에게 평화와 이해, 그리고 행복을 가져다 줄 수 있다고 말해주셨다.
 
술을 마시지 말라[ ]의 계를 설명하는 [정념 사회를 위한 소비]는 마지막 정념 수행으로 이것은 건강과 치유에 대한 수련이다. 즉 음식을 잘 씹어 삼킴으로 음식의 본질을 느끼면서 먹는 것과 흡연과 음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말하는데, 특히 외로움을 많이 타는 현대인들은 이 [외로움의 허기]로 인해 과식을 하거나 흡연과 음주의 중독에 물들게 된다면서 스스로의 육체와 의식을 깊이 성찰하여 그것들을 확인하고, 물을 많이 마시고, 마사지로 혈액순환을 도와 독소를 몰아내고, 신선하고 깨끗한 공기를 마셔 그 독소들을 몰아내라고 말하신다. 육체와 의식의 식이요법을 대표하는 이 다섯 번째 정념 수행은 영양이 많고 상쾌하고 치유의 힘이 있는 대상을 가까이 하고 흡수하는 기술을 배워 균형을 되찾고 우리 안에 이미 자리 잡고 있는 고통의 외로움을 변하게 하는 길이라고 말씀하신다.
 
윤리시간에 들어봤음직한 불교의 오계는 길지 않은 다섯 가지의 계율로만 이해했었다. 다시 말해 스님이나 불자들이 해서는 안될 것들을 모아놓은 것으로만 기억했던 것이다. 하지만 틱낫한 스님은 오계를 풀이하면서 이것들을 지켜야 하는 이유는 완전하고 평화롭고 행복한 삶의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라고 전한다. 모든 것들은 고개를 돌려 보듯 생각을 고쳐서 바라보면 지킬 수 있는 것들이었음을 알게 된다. [마음을 어디에 두는가?]에 따라 세상은 어두울 수도 밝아질 수도 있음을 새삼 느끼게 된다.
가장 내 주목을 끈 것은 부록에 실린 [정념에 다가서는 열 가지 물음]인데, 현대인들이 불가의 오계를 지키는데 겪게 되는 문제점과 의문에 대해 잘 설명해 놓았다.
생명존중의 정념 수행을 설명하는 중에 '식물을 꺾고, 삶아서 먹는 것도 살생이 아닌가?' 하는 현대인의 질문에 틱낫한 스님은 [누구도 완전한 비폭력의 화신이 될 수는 없다]고 말하시며 [채식주의]를 신천함으로써 비폭력의 방향성을 가지게 되는 것만은 분명하다고 대답하셨고, 술을 마시지 말라는 정념 수행에서는 '포도주 한 잔 정도는 몸에도 좋다고 하지 않은가?'라고 물은 현대인의 질문에 첫번째 잔을 들지 않으면 두 번째나 세 번째 잔도 들이키는 일이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중독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인간의 미련과 술권하는 사회의 유혹에 대한 명쾌한 답이 아닐 수 없었다.
 
산사를 찾아가 며칠간 법회를 듣고 온 듯 마음이 차분해지고 머리가 맑아짐을 느낀다. 하지말라는 터부가 아니라 이들을 금함으로써 얻게 되는 행복감을 알게 되었다. 잠시나마 마음의 위안을 찾게 되었고, 그 마음을 오래도록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틱낫한 스님의 말씀은 높은 곳에서 내려온다기 보다는 옆에서 들리는 듯 하다. 불편하지 않고, 부담스럽지 않다. 그 분을 책으로 찾고 만나기를 두려워하지 않는 이유인 듯 하다. 같이 공존하는 듯 한 분, 이것이 그 분을 큰스님이라고 불리는 이유인가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