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 우리가 어떤 사람인가에 대한 통념을 뒤집는다. 현명한 실험과 매혹적인 이야기를 통해 선과 악이라는 2가지 사고체계의 틀을 완전히 깨트린다. -대니얼 길버트, 하버드대 교수,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저자
ㆍ 거짓말을 하거나 속이거나 훔치고 싶은 은밀한 유혹에 쉽게 빠지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이 책을 읽어야 한다. 도덕적 인격이라는 개념에 직격탄을 날리며, 자신과 주변 사람들이 얼마나 도덕적인지 깊이 통찰할 수 있다. -폴 블룸, 예일대 교수, 《우리는 왜 빠져드는가》저자
ㆍ 인격을 바라보는 우리의 편협한 시각을 날카롭게 분석한 책. 흥미롭고도 통찰력이 있으며, 독창적인 데스테노와 발데솔로의 실험은 자신과 타인을 바라보는 사고체계를 완전히 바꾸어 놓을 것이다. -뉴욕타임스
ㆍ 우리는 왜 부정행위에 끌리는가? 인간의 그릇된 행동의 근원에 관한 오랜 논쟁에 마침표를 찍다. 놀랍고도 복잡한 인격을 둘러싼 통념을 흥미진진하면서도 심도 있게 해석해낸다. -월스트리트저널
우리 안에 숨은 거짓말쟁이 사기꾼 죄인에 관한 놀라운 진실 『숨겨진 인격』. 이 책은 ‘선과 악’ ‘흑과 백’ ‘성인과 죄인’ ‘개미와 베짱이’ 등으로 양분되는 인격에 관한 고정된 시각을 창조적이면서도 과학적인 연구로 재미있게 설명하고, 우리의 인격은 고정된 것인 아닌 끊임없이 변화하는 존재임을 알려준다.
인간심리와 본성에 관한 통념을 뒤엎은 독창적이고 도발적이며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공개된다! 우리는 왜 거짓, 사기, 위선과 같은 부정행위의 유혹에서 벗어나지 못하는가? 이해하기 어렵고 설명할 수도 없는 수많은 위선적인 행동들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인격을 형성하고 지배하는 요인이 무엇이며, 우리 안에 숨은 성인과 죄인을 움직이는 힘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통찰력 있는 연구와 탁월한 심리실험을 통해 낱낱이 밝혀낸 매혹적인 심리교양서!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가족의 가치를 인생의 모토로 삼던 사람이 어떻게 갑자기 아내 몰래 바람을 피울까? 이성적이고 대단히 명민한 투자가들조차 도박의 유혹에 빠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매춘과의 전쟁을 벌이던 도덕적 정치인이 어쩌다 희대의 매춘 고객이 되었을까? 독실한 가톨릭 신자이자 자선사업가로 유명한 한 배우는 왜 인종차별적 발언을 서슴지 않았을까? 인격을 형성하고 지배하는 요인이 무엇이며, 우리 안에 숨은 성인과 죄인을 움직이는 힘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통찰력 있는 연구와 탁월한 심리실험을 통해 낱낱이 밝혀낸 매혹적인 심리교양서 《숨겨진 인격OUT OF CHARACTER》이 출간되었다. 《숨겨진 인격》은 출간되자마자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뉴스위크> <보스턴글로브>
노스이스턴대학 심리학과 교수인 데이비드 데스테노와 클레어몬트매케나칼리지 심리학과 교수이며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등에서 일급 패널로 활약하는 피에르카를로 발데솔로는 ‘선과 악’ ‘흑과 백’ ‘성인과 죄인’ ‘개미와 베짱이’ 등으로 양분되는 인격에 관한 고정된 시각을 창조적이면서도 과학적인 연구로 재미있게 설명하고, 우리의 인격은 고정된 것인 아닌 끊임없이 변화하는 존재임을 알려준다. 저자들은 우리의 인격이 보이지 않는 정신체계의 밀고 당김에 쉽게 영향을 받는 변화무쌍한 존재임을 증명하고, 부정행위의 유혹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비책을 알려준다. 또한 우리 마음을 완벽하게 들여다볼 수 있게 해주며, 각양각색의 인격들을 이해하게 하며, 우리 자신과의 진실한 대면을 가능하게 해준다.
인간심리와 본성에 관한 통념을 완전히 뒤엎은
심리학 역사상 가장 독창적이고 도발적이며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공개된다!
2008년 밸런타인데이 전날 밤, 매춘 반대운동의 기수였던 뉴욕 주지사 엘리엇 스피처(‘조지 폭스’라는 이름으로 매춘고객 명단에 이름을 올렸던)는 자신의 이미지와 이력을 하루아침에 날려버렸다. 도덕과 청렴을 주정부의 핵심 표어로 삼았고, 미국의 오랜 가치인 가족이 붕괴하고 있다며 소리 높여 비판했던 남자, 엘리엇 스피처는 왜 위선적인 행동을 하였을까? 우리 사회에는 위선 사례가 넘쳐난다. 빌 클린턴을 공개적으로 꾸짖었던 래리 크레이그 상원의원이 남자 화장실에서 성행위를 요구했다는 이야기나, 마크 맥과이어, 배리 본즈, 매리언 존스 같은 스포츠 영웅들이 약물 복용을 비난해놓고 나중에는 정작 자기들도 약물 복용에 연루된 사건은 너무도 유명하다. 이들은 자신이 하루아침에 공개적으로 추락하는 모습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했을까?
그렇다면 우리는 왜 거짓, 사기, 위선과 같은 부정행위의 유혹에서 벗어나지 못하는가? 이해하기 어렵고 설명할 수도 없는 수많은 위선적인 행동들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저자 데이비드 데스테노와 피에르카를로 발데솔로는 위선, 도덕적 타락, 욕구와 위험 사이의 갈등, 도박, 편협, 사랑과 욕정 사이의 싸움 등 우리 안에 도사리고 있는 숨겨진 인격의 실체를 독창적이고 도발적이며, 흥미로운 실험을 통해 밝히며, 우리가 왜 인격에서 벗어난 행동을 하는지를 분석해낸다. 저자들은 우리의 인격을 선과 악이라는 2가지 사고체계로 나누는 것은 한물간 이론이라며 기존의 틀을 완전히 깨트린다. 인격은 가변적인 것으로 환경이나 상황이 조금만 바뀌어도 누구나 성인도 될 수 있고 죄인도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 정신은 왜 그런 식으로 작동할까? 그리고 우리의 인격은 존재하기는 하는 걸까?
우리의 정신체계는 융통성을 발휘하는 체계로 유동적인 존재이다. 그리고 인격을 결정하는 것은 우리 행동을 조정하려고 경쟁하는 서로 다른 정신체계라는 걸 인정한다면 인격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의지력에만 의존해서도 안 되며, 정신적 원칙에 바탕을 둔 특별한 기술과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도덕, 질투, 편협, 정직, 연민, 신뢰, 자부심의 작동 원리를 바탕으로 인격을 좌우하는 결정을 장악하려고 음모를 꾸미는 힘에 맞서 자신을 지키기 위해서는 자신의 감정의 미세한 신호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데스테노와 발데솔로는 우리의 인격은 정신작용을 동반한 심리적 욕구로 이루어진 빛의 연속체라고 말한다. 기질, 문화, 그리고 주거지 환경의 차이에 따라, 장기 욕구와 단기 욕구를 잇는 연속선상에서 어떤 사람이 특정한 지점에 자주 나타날 수도 있고, 그의 행동이 저울의 어느 한쪽으로 더 치우치는 성향이 있을 수도 있다. 즉, 빠르게 이동하는 저울의 눈금이 우리를 선과 악의 연속선상에서 새로운 색깔로 옮겨놓고 있는 것이다.
타이거 우즈의 불륜, 엘리엇 스피처의 매춘 행위, 멜 깁슨의 인종 차별적 발언 등 인격을 벗어난 행동들을 보며 속았다 생각하기보다는 ‘누구든’ 다양한 ‘인격 형성’을 드러낼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우리는 이 세상을 좀 더 능률적으로 항해할 수 있다. 겁쟁이와 영웅, 편협한 사람과 관대한 사람, 문란한 사람과 순결한 사람, 성인과 죄인은 종이 한 장 차이라는 걸 이해한다면, 우리 스스로 또는 우리에게 중요한 사람이 인격을 벗어난 행동을 할 때 유연한 자세로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숨겨진 인격
수요북콘 11월 프로그램 안내
젊음의 거리 홍대에서 열리는 수요일의 북콘서트 <수요북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일시 매주 수요일 오후 7시 30분
장소 북스리브로 홍대점 콘서트홀
대상 월간 라이브러리&리브로 독자 및 책을 사랑하는 사람 누구나
신청 및 문의 02-736-4090
공식 블로그 http://suyobook.blog.me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suyobook
제39회
11월 21일《책 앞에서 머뭇거리는 당신에게》(지식공간)의 저자 김은섭
김은섭 인터넷 세상에서는 리치보이(Richboy)라는 필명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그가 책을 읽은 흔적들은 블로그에 남아 있다. 교보문고 북모닝 CEO 선정 ‘북멘토’이고, 경향신문 <책으로 읽는 경제> 칼럼을 연재했다. 현재 코오롱 그룹과 한전 사보에 북 칼럼을, 출판전문잡지 <기획회의>에 경제경영 전문가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MBN M머니 <경제 북카페>, 팍스TV <부자가 되는 책>, CJB 라디오 <김은섭의 책으로 만나는 세상>에 출연 중이고, 2010년부터 한겨레 교육문화센터에서 <글쓰기 입문>과 <독서클럽> 강의를 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출판방송 온북TV (주)여산통신,
출판 전문잡지 월간 <라이브러리&리브로>가 함께합니다.
'Book Some place.. > 오늘의 책이 담긴 책상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치보이가 주목한 오늘의 책 - 포스트 캐피털리즘(크리스토퍼 메이어) (0) | 2012.11.16 |
---|---|
리치보이가 주목한 오늘의 책 - 2013-2014 세계경제의 미래(헤리 덴트) (0) | 2012.11.16 |
리치보이가 주목한 오늘의 책 - 10대의 비밀 비밀의 10대 (0) | 2012.11.16 |
리치보이가 주목한 오늘의 책 - 낯선 사람 효과(리처드 코치) (0) | 2012.11.15 |
리치보이가 주목한 오늘의 책 - 마흔의 서재(장석주) (0) | 2012.11.15 |